
SK하이닉스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10년 만에 분기적자를 기록했다. /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1일 실적발표를 통해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 7조6986억원, 영업손실 1조701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37.8% 감소했다. 분기 단위 영업적자가 나온 건 2012년 3분기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당기순손실도 3조523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메모리 수요가 줄고 제품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4분기 회사의 경영실적이 적자로 전환됐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지난해 연간 실적은 매출 44조6481억원, 영업이익 7조66억원, 순이익 2조438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3.8%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43.5% 급감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매출 성장세는 이어졌으나 하반기부터 반도체 다운턴이 지속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며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회사는 투자와 비용을 줄이고, 성장성 높은 시장에 집중해 업황 악화로 인한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는 상반기 역시 다운턴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연간 전체적으로 보면 하반기로 갈수록 시장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투자 축소와 감산 기조로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의 공급이 늘지 않아 재고는 상반기 중 정점을 기록하고 점차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IT 기업들이 고점 대비 큰 폭으로 가격이 떨어진 메모리 반도체의 사용량을 늘리며 점진적으로 시장 수요도 반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최근 인텔이 DDR5가 적용되는 신형 CPU를 출시하고 AI에 기반한 신규 서버용 메모리 수요가 발생할 수 있는 긍정적인 시그널이 시장에 나오고 있는 데 주목하고 있다"며 "당사가 데이터센터용 DDR5와 176단 낸드 기반 기업용 SSD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확보한 만큼, 시장 반등시 빠르게 턴어라운드를 해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10월 실적발표에서 밝힌대로 올해 투자 규모를 2022년 19조원 대비 50% 이상 줄인다는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DDR5/LPDDR5, HBM3 등 주력제품 양산과 미래성장 분야에 대한 투자는 지속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부사장은 "이번 다운턴을 잘 극복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체질로 무장하여 글로벌 초일류 기술기업으로 더 크게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