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4분기 글로벌 VC 투자가 7641건, 756억달러를 기록해 직전 분기(9767건·1022억달러) 대비 급감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글로벌 회계·컨설팅기업 KPMG 인터내셔널은 지난 26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지난해 4분기 글로벌 VC 투자가 7641건, 756억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직전 분기(9767건·1022억달러) 대비 거래 건수와 규모가 급감해 2019년 2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보고서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등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VC 시장이 얼어붙고, 올 1분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에너지 자립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전기차와 같은 대체 에너지 기술, 발전·분배 등 에너지 분야와 ESG 솔루션에 대한 VC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4분기 VC 투자는 미주와 유럽, 아시아 등 모든 지역에서 거래 건수와 투자 규모가 감소했다. 아시아에 대한 VC 투자는 2022년 3분기 3052건, 304억달러에서 4분기 2157건, 226억달러로 투자 건수와 금액 둘 다 30%가량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CVC(Corporate Venture Capital·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 투자도 4분기 연속 감소했다. CVC 관련 총 투자액은 2021년 4분기 1080억달러에서 2022년 4분기 365억달러로 1년 새 약 70% 줄어든 양상을 보였다.
글로벌 벤처캐피털의 엑시트(투자회수) 활동도 2021년 4174건, 1조4270억달러에서 2022년 2997건, 3088억달러로 전년 대비 하락했다. 미국 시장의 엑시트 규모는 7532억달러에서 714억달러로 무려 90% 감소했다.
소비재 중심 기업들이 가장 부담을 느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올해에도 전 세계 벤처캐피털 투자는 여전히 저조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미국의 기업공개(IPO) 시장은 올해도 주춤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수·합병(M&A) 활동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아시아태평양 내 10대 메가딜 상위 7개를 차지한 가운데 한국은 토스(4억500만 달러)가 8위에 올랐다.
김이동 삼정KPMG 부대표는 "유럽의 에너지 위기와 기후 변화 등을 고려할 때 투자자들은 대체 에너지 기술, 전기·수소 차량, 배터리 저장 기술 등으로 눈길을 돌릴 것"이라며 "사이버보안, 생명공학, 레그테크(규제·기술 합성어), 밀리터리 앱에도 많은 관심이 몰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