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관련 관계 장관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뉴스1(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거부 11일째인 지난 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관계 장관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정유, 철강 등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업종은 즉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에 엄정 대응할 것이라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불법과 폭력을 행사하는 세력과는 어떤 경우에도 타협하지 않아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불법행위는) 끝까지 추적해서 처벌하고 정상운행을 하는 운전자와 업무에 복귀하는 운전자는 정부가 책임지고 보호해야 한다"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고질적인 불법 파업과 그로 인한 국민 피해는 앞으로도 계속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또한 집단운송거부뿐 아니라 정상운행을 방해하거나 위협하는 행위, 사후적으로 정상운행 차주에게 보복하는 행위는 모두 법을 위반하는 범죄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장관들에게 "불법행위는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끝까지 추적하고 신속 엄정하게 조치해달라"고 주문했다.
화물연대 파업으로 지난 3일까지 열흘간 석유화학(1조173억원), 철강(1조306억원), 정유(5185억원), 자동차(3462억원), 시멘트(1137억원) 등 총 3조263억원의 출하 차질을 빚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날 오후 2시 기준 전국에서 기름 탱크가 바닥을 드러낸 주유소는 88곳으로 조사됐다. 휘발유는 73곳, 경유는 10곳, 휘발유와 경유 모두 재고가 소진된 곳은 5곳이었다.
한 철강업체는 제품출하를 재개했으나 화물연대 차량 미 복귀로 제한적 출하에 머물고 있다. 이 공장은 원부자재 입고가 중단되고 유류재고가 소진돼 공장 가동 자체가 사실상 중단 직전 상태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