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첨단기술 플랫폼 조성사업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가 출범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4차산업혁명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첨단기술 플랫폼 조성사업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가 출범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4차산업혁명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첨단기술 플랫폼 조성사업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를 출범한다고 2일 밝혔다.


이날 오후 2시부터 서울 강서구 LG 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LG사이언스파크·LG공간연구소·네이버클라우드·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이지스자산운용·코가로보틱스·현대자동차·현대엘리베이터·서울특별시·서대문구·KBS·건축공간연구원·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한국로봇산업진흥원·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스마트+빌딩은 일상생활의 수요·기술 서비스 변화에 대응해 유연성과 포용성을 갖춘 건축물로 도심항공교통(이하 'UAM'),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작동할 수 있도록 공간, 구조, 설비 등을 갖춘 건축물을 말한다.


첨단기술을 담아내는 플랫폼 스마트+빌딩이 확산되면 건물 안밖에서 각종 서비스가 제공되는 라스트인치(Last-Inch)를 통해 일상의 편의가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라스트인치는 건물 외부로부터 모든 공간에 연계되는 서비스다.

UAM을 활용해 경찰·소방관 등이 재난 현장에 교통정체 없이 빠르게 이동하거나 방송국에서 각종 첨단기술을 활용해 재난 방송을 할 수 있다. 스마트+빌딩을 공공건축물에 적용할 경우 국가 재난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얼라이언스 공동위원장은 원희룡 국토부 장관과 하헌구 인하대 교수가 맡았다. 기술, 비즈니스, 인증 3개 분과로 구성된다. 분과별 회의를 통해 규제 개선과 인센티브 부여 필요 사항을 발굴하고, 건축물에 첨단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개발(R&D) 과제도 협업할 예정이다.

출범식을 시작으로 얼라이언스는 약 6개월 동안 활발한 논의를 통해 스마트+빌딩 활성화 로드맵을 상반기 중 초안을 마련하고, 연말까지 의견수렴을 통해 확정한 후 이를 적극 이행해 나갈 계획이다.


원 장관은"모빌리티, 로봇 등 다양한 혁신기술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플랫폼인 스마트+빌딩을 통해 앞으로 기업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4차산업혁명 기술을 체감하고 국내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