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으로 철강사 피해↑… "장기화 시 감산·셧다운 고려"
최유빈 기자
3,590
공유하기
|
국내 철강사들이 지난 24일 총파업 실시 이후 지금까지 철강 제품 대부분을 출하하지 못하고 있다. 출하가 막히면서 철강사들은 야적장 부지와 공장 내 제품 보관창고를 활용해 제품을 보관 중인데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피해가 불어날 전망이다.
29일 국토교통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로 11월 철강재 출하계획 중 47%의 물량만 출하된 것으로 파악됐다.
포스코의 경우 냉천 수해 및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출하지연 물량은 일일 2만7000톤으로 집계됐다. 포항제철소 1만톤, 광양제철소 1만7000톤 등이다.
철강업계는 긴급 배차 물량을 확보하거나 상품 조기 출하를 통해 야적·재고 물량을 최대한 비워놓는 등 대비에 나섰지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타격이 불가피하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화물연대 파업으로 출하가 막히면서 재고가 쌓이고 있다"며 "파업이 길어지면 감산이나 셧다운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지난 6월 총파업 당시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선재 1~4공장, 냉연 2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매일 약 2만톤의 재고가 쌓여 약 11만톤이 출하하지 못하고 창고나 제철소 내 도로에 쌓였고 공간이 부족해지면서 공장 가동이 중단되기도 했다.
태풍 힌남노로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인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경우 폐기물 처리와 함께 설비 자재가 운송돼야 해 애를 먹고 있다. 이로 인해 포스코는 화물연대에 폐기물 반출과 설비 자재 입출고만큼은 허용해달라고 요청했다.
정부는 주요 물류거점에 경찰력(기동대·교통경찰·신속대응팀 등)을 배치해 운송방해행위 등 불법행위를 사전 차단하고 있다. 또 대체수송력 추가 확보를 위해 전날부터 군위탁 컨테이너 차량 등을 지속 투입하고 있다. 긴급 물량은 경찰의 보호 아래 반출하고, 기업 별 자체 운송인력 투입, 정부의 비상수송대책 등을 통해 물류 피해를 줄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moneys@mt.co.kr )>
-
최유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