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이석우 대표 "디지털자산 산업 성장 위해 'IEO' 논의해야"

양진원 기자VIEW 7,5992023.03.17 06:40

글자크기

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디지털자산 산업의 발전을 위해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개(IEO) 허용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진=두나무
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디지털자산 산업의 발전을 위해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개(IEO) 허용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진=두나무
AD
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성장 중인 디지털자산 산업의 도약을 위해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개(IEO) 허용 등 여러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지난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디지털자산 컨퍼런스 2023'(DCON 2023)를 통해 "많은 시행착오 속에서도 디지털자산 산업은 성장하고 있다"며 "남은 숙제는 디지털자산 산업을 우리 사회가 어떻게 포용하고 성장시키느냐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국내 최대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와 한국경제법학회, 서울대 한국경제혁신센터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이어 "우리나라 디지털자산 산업을 한 단계 성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주요 국들은 발빠르게 디지털자산 산업을 제도화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고 했다. 유럽연합(EU)은 미카(MiCA·가상자산 규제) 제정이 막바지 단계다. 미국 역시 바이든 행정명령을 발판으로 디지털자산 산업 제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대표는 국내에서도 디지털자산 산업에 대한 고민들이 이어지고 있다며 앞으로 새로운 시각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자산은 국경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거래되는 특성을 갖고 있어 기존 시장과 구별된다"며 "기존 시장을 바라보는 것과는 다른 시각으로 디지털자산 시장을 바라보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인 'IEO 허용'도 검토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 대표는 "그동안 논의되지 못한 IEO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IEO는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가상자산사업자 관리 하에 진행되는 가상자산 발행 행위다. 가상자산 거래소가 신규 가상자산 프로젝트를 직접 검토한 뒤 상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코인의 발행과 상장 절차를 주도하는 것이다. 투자자 입장에선 거래소 '인증'을 거친 가상자산을 살 수 있다.

윤석열 정부는 출범 당시 가상자산공개(ICO) 인프라를 조성하겠다고 밝혔고 IEO 허용은 그러한 움직임의 일환이다.

단계적인 과정을 거쳐야 하는 만큼 IEO 허용까진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국회에서 현재 가상자산 불공정거래를 규제하는 법안이 법안 심사 예정인데 이는 첫 관문이다. 이후 IEO 허용 관련 법안이 발의돼 통과돼야 한다.

가상자산 학계에선 관련 법안이 여야 간 의견 차가 적은 만큼 올해 안에 통과될 것으로 내다봤지만 3월인 지금도 법안소위 문턱조차 넘지 못한 것이다.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