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LG유플러스 가중되는 정보 유출 사태… 정부 '칼날 검증' 예고

양진원 기자VIEW 5,8172023.02.07 05:00

글자크기

LG유플러스가 올해 고객들의 개인정보 유출과 유선망 마비 사태로 인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정부가 늘어나는 피해 규모에 따라 강력한 사실 조사를 천명한 만큼 향후 결과에 이목이 집중된다. /사진=뉴스1
LG유플러스가 올해 고객들의 개인정보 유출과 유선망 마비 사태로 인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정부가 늘어나는 피해 규모에 따라 강력한 사실 조사를 천명한 만큼 향후 결과에 이목이 집중된다. /사진=뉴스1
AD
LG유플러스가 정보 유출 사건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칼날 검증을 예고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는 올해 초 LG유플러스에서 일어난 개인정보 유출 피해 건수가 기존 피해자 수 21만명보다 8만명 더 많은 29만명이라고 지난 6일 전했다.

당초 LG유플러스는 지난달 5일 개인정보 유출 사례가 18만건이라고 신고했으나 같은 달 20일 3만건이 추가로 유출돼 총 21만건이라고 알렸다. 하지만 개인정보위가 지난달 31일 사실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LG유플러스 해지고객 데이터베이스(DB)에서도 8만여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파악했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LG유플러스 관련 조사관을 더 늘리는 등 정확한 유출 규모와 경위를 파악할 예정이다.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시 과태료·과징금 등 행정 처분을 내릴 계획이다.

개인정보보호법 위반행위에 대한 경제적 제재를 강화하기 위한 '개인정보보호법'이 아직 개정되기 전인 만큼 과징금 규모는 개정안에 새롭게 반영된 '전체 매출액'이 아닌 '위반행위 관련 매출액'을 기준으로 산정된다.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에는 위반행위에 대한 과징금 상한액은 '위반행위와 관련된 매출액'의 3% 이하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책정된다.

유선망 통신 장애 사태 역시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29일과 이달 4일 이틀 동안 총 5차례 유선 인터넷이 디도스 공격(DDoS; 분산서비스거부공격)으로 잠시 먹통이 됐다. 이로 인해 LG유플러스 회선을 쓰는 PC방 등이 피해를 입었다.

주무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특별조사점검단을 꾸려 사이버 침해 예방·대응 체계와 관련 문제점을 집중 점검하고 개선책을 조만간 내놓을 예정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LG유플러스에 책임 있는 시정조치와 미흡한 부분에 대한 조치 이행을 요구하겠다"며 "주요 정보통신사업자의 침해사고 대응체계를 개편하는 등 법령 개정을 포함한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의 검증 공세가 강화되는 가운데 LG유플러스는 황현식 대표를 중심으로 주요 경영진들이 참여하는 전사 위기관리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상암·마곡사옥에 200여명의 네트워크부문 관제 및 운용, 정보보호 인력을 배치, 비상근무체계를 구축했다.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