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세의 딸은 87세의 아버지를 14년 간 부양했다. 어느 날 아버지는 딸에게 흉기를 휘둘러 상처를 입혔다. 딸이 자신의 물건을 훔쳐갔다는 것. 다행히 딸은 크게 다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버지는 십수 년을 부양한 딸을 알아보지 못한 '치매 환자'였다. 고령층 치매 환자가 국가적 난제로 떠올랐다. 세계보건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치매 관리비용은 2018년 1조달러(1275조원·4일 기준 원/달러 환율)에서 2030년 2조달러(2550조원)로 2배 상승할 전망이다. 한국 역시 2025년이면 인구의 20%가 65세 이상 고령층인 초고령 사회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치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2050년 국내 치매 추정 환자가 300만명에 이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치매 환자 관리에 대한 현주소를 짚어봤다.
![]()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국가가 늘고 있다. 전 세계 치매 관리 비용은 2018년 1조달러에서 2030년 2조달러로 2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국가 내 의료보건시스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픽=김은옥 기자
AD
|
①2050년엔 300만명… 가족도 나 자신도 모든 게 사라졌다
②고립되는 치매 환자와 가족들… "모두가 외롭다"
③"환자도 가족도 행복해야죠"… 주요국 치매 지원은 어떻게
전 세계가 고령화사회에 접어들면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치매환자도 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치매 환자는 2021년 2100만명에서 2050년엔 4400만명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치매 관리비용이 증가하면서 모든 국가에서 사회·경제적 부담이 커질 것이란 예측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치매 관리비용은 2018년 1조달러(1275조원·4일 기준 원/달러 환율)에서 2030년 2조달러(2550조원)로 2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의 경제적 부담은 국가 내 의료보건시스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들의 치매 지원 제도를 살펴본다.
미국, 의료서비스 통합 정보망 구축 미국은 1992년 알츠하이머병 관련 연구법을 시작으로 2011년 국가 알츠하이머병 프로젝트법에 이어 2014년 알츠하이머병 책임법을 제정하는 등 치매 연구를 꾸준히 지원하고 있다. 의료 서비스 통합 정보망을 구축함으로써 치매 환자의 진료·병원 방문 기록을 모두 전산으로 관리, 응급실을 방문하더라도 불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줄여 주고 있다.
알츠하이머협회를 통해선 치매 간병인과 전문 치료 제공자를 위한 최신화된 지침을 수시로 제공하고 있다. 건강보험서비스센터(CMS)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감염병 대유행) 영향으로 치매 환자가 입소한 요양원이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해졌을 때 직원 확충에 빠르게 대응했다.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요양원 직원의 간병·감염병 관리 업무가 새롭게 늘어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여기에 코로나19에도 요양원을 폐쇄하지 않고 유연한 면회 정책을 실시, 요양원에 입소한 치매 환자와 보호자의 사회적 고립과 심리적 불안감을 덜어주는 데에도 적극 나섰다.
영국, 치매 케어 매니저 중심 '치매돌봄경로' 구축
![]() 주요국가의 치매 지원 제도. /그래픽=김은옥 기자
AD
|
영국 건강보험공단(NHS)은 2016년부터 치매 환자에 의료적 처방뿐 아니라 건강한 생활양식과 정서, 건강향상 활동 등 사회적 처방을 도입했다. 보호자에게는 교통비와 가사 지원, 주택 개조, 간병인 지원, 식사, 여행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
독일, 전국에 치매 전문센터 운영 독일은 2021년 65세 이상 노인비율이 전체 인구(8400만명)의 22%를 차지했고 2050년에는 30%에 이를 정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약 8~10%인 150만명 정도가 치매 환자로 추산된다. 치매 환자를 사회 활동에서 완전히 제외하기에는 비중이 크다는 판단에 국가적 치매 대응전략을 시행 중이다. 치매를 향한 비정상적인 낙인과 선입견을 없애기 위해 대중의 인식 제고 노력도 하고 있다. 치매 환자를 대하는 공공교육을 진행해 치매 환자를 대하는 방식을 알리고 있다.
치매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조언과 지원을 하기 위해 전화, 이메일, 온라인 상담을 제공하고 있으며 장기 요양보험 급여상의 구제급여 또는 예방진료 항목을 통해 보호자의 환자 돌봄·지원 비용을 지원하기도 한다. 이승훈 경기도 광역치매센터장은 "독일은 거의 모든 주에 치매 전문센터를 두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지원을 제공하고 있고 현재 더 많은 지역 네트워크가 설립 중"이라고 말했다.
일본, 지역 중심 치매 대응체계 확립 일본은 2000년부터 고령자를 위한 개호보험 제도를 두고 2015년 '신오렌지 플랜' 국가 전략을 세우는 등 환자 중심에서 지역 중심으로 치매 대응체계를 전환하고 있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것에 사회가 적극 나서는 것이다. 지역 음식점이나 관공서, 간병 시설 등에 치매 환자와 보호자들이 모여 서로 고민을 공유하고 상담할 수 있는 치매카페 등이 이 정책의 대표적 성공사례로 꼽힌다.
치매카페를 통해 치매 환자와 보호자가 필요로 하는 시설과 병원, 지역 자원을 연계해줘 이들이 지역사회에 쉽게 정착할 수 있게 해준다. 2020년 코로나19 확산 이후 치매카페 활동이 위축되기도 했지만 온라인 비대면 활동을 통해 치매 환자와 보호자들이 교류할 수 있도록 태블릿 등 IT 기기를 지원하기도 했다.
이 센터장은 "일본의 경우 치매관리의 오랜 경험과 개호지원전문원(케어 매니저)을 두고 치매 환자를 위한 맞춤형 보건, 복지서비스를 계획하고 실행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장점"이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