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1%포인트 오르면 가구 소비가 연 0.37% 줄어든다는 한국은행의 연구결과가 나왔다./사진=이미지투데이
AD
|
한국은행이 7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금리 상승 시 소비 감소의 이질적 효과' 제하의 BOK 이슈노트를 공개했다.
특히 부채가 많고 소득이 낮은 가구의 DSR이 1%포인트 오를 때 소비가 0.47% 감소해 전체 가구의 소비 감소 폭(0.37%)을 크게 상회했다.
한은은 "DSR 1%포인트 상승할 때 '고부채-중·고소득 가구'의 소비는 0.46% 감소해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로 인한 소비제약 정도가 고부채-저소득 가구와 양적인 차이는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일반적으로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재량적 소비의 비중이 높아 소비조정을 통해 충격을 상쇄할 여력이 크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질적인 측면에서는 고부채-저소득 가구와 고부채-중·고소득 가구의 소비 충격 정도가 상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부채 수준은 고려하지 않고 오직 소득 수준만 따지는 경우 DSR이 1%포인트 오를 때 하위 30% 이하 저소득 가구의 소비는 0.28% 줄었다.
반면 하위 30% 이상 중·고소득 가구의 소비는 0.42% 더욱 크게 위축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 표=한은
AD
|
유주택자도 원리금 상환 부담이 아주 높은 경우 소비 감소 효과가 컸다. 부채가 많으면서 주택을 보유한 가구 중 DSR이 20% 이상인 가구는 DSR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 수준이 0.40%로 나타났다.
DSR 20% 미만인 고부채-자가 가구는 소비 감소 효과가 0.25%에 그쳤다.
한은은 이와 관련해 "DSR 수준이 낮은 자가 가구의 경우 보유 중인 주택을 활용해 소비 재원을 마련할 수 있는 여지가 크기 때문에 기인한다"고 판단했다.
한은은 부채소득비율(DI)이 200% 이상으로 높은 상태에서는 부채비율의 추가 상승이 소비 감소(DI 10%포인트 상승 시 -0.31%)를 초래하나 부채비율이 200%보다 낮은 상황에서는 소비가 오히려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가계부채가 과도하지 않을 경우 늘어난 부채 일부를 소비에 활용하지만 부채가 소득의 2배를 넘으면 늘어난 빚을 잘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DI가 높을 때는 저소득 가구의 소비가 크게 제약된다고 설명했다.
오태희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가계의 금융 부담이 가중되면 취약계층은 필수 소비를 중심으로, 중산층 이상은 재량 소비를 중심으로 소비가 줄어들 수 있기에 이를 고려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의 2007~2021년 자료를 기초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