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이창양 산업부 장관 "업무개시명령 발동 검토"…누적 손실 3.5조원

최유빈 기자VIEW 4,9702022.12.06 15:01

글자크기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6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관련 주요업계 긴급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뉴스1(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6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관련 주요업계 긴급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뉴스1(산업통상자원부 제공)
AD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총파업이 13일째로 접어들면서 정부는 추가 업무개시명령을 검토하고 있다. 이날까지 총 3조5000억원의 출하 차질이 빚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6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에 따른 ▲철강 ▲석유화학 ▲정유 ▲시멘트 ▲무역 등 주요 업종에 대한 피해 상황 점검과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산업부 업종별 담당 국장과 주요 업종별 협·단체, 주요 기업 담당자 등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산업별 피해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면서 국가경제 위기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업무개시명령이 즉각 발동될 수 있도록 제반 준비를 완료했다.

이날 회의에서 이창양 장관은 "국가 핵심산업과 국민생활과 밀접한 정유, 철강, 석유화학 분야의 피해상황을 엄중하게 보고 있으며 막대한 피해가 현실화되기 전에 이번 주 중에라도 선제적으로 업무개시명령 발동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가 불법행위에 대한 무관용 원칙을 재확인했듯 기업들도 화물연대의 불법행위를 묵인하고 타협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정부에 도움을 요청해달라"며 "무역협회 등에서 검토 중인 중소화주의 손해배상 소송 지원방안도 다른 협·단체로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4일부터 전날까지 화물연대 운송거부 기간 동안 ▲철강 ▲석유화학 ▲정유 ▲시멘트 ▲자동차 등 5개 업종의 출하 차질 규모는 총 3조5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철강과 석유화학 분야의 경우 누적된 출하 차질에 따른 저장 공간의 부족으로 일부 업체는 감산을 검토하고 있다.

정유 분야에서 이날 오전 8시 기준 전국 품절 주유소는 85곳이다. 휘발유가 품절된 곳은 68곳, 경유는 9곳, 휘발유·경우가 모두 품절된 곳도 8곳으로 확인됐다.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진 시멘트는 운송사와 차주들의 운송 복귀가 늘어나면서 시멘트 출하량이 평시대비 88% 수준으로 올라서면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