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무역적자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 사진=뉴시스
AD
|
이 같은 적자 규모는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기록에 해당한다. 기존 상반기 역대 최대 무역수지 적자는 1997년의 91억6000만달러다
상반기 수출액이 3500억달러를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만 역대 최대 규모의 무역적자에 가려져 빛을 보지 못했다.
이 같은 무역적자는 에너지 수입액이 크게 늘어난 탓이다. 상반기 원유·가스·석탄 등 수입액은 전년동기(469억달러)보다 410억달러(87.5%) 증가한 879억달러를 기록했다.
하반기 전망 역시 좋지 않다. 특히 수출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으로 '2022 하반기 수출 전망 조사'를 진행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 150곳의 평균 하반기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0.5%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 수 기준으로는 44%의 기업들이 올해 하반기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 이유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수출경쟁력 약화(41.2%) ▲해상 및 항공 물류비 상승 등 공급망 애로(21.9%)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제 상황 악화(21.1%) 등을 꼽았다.
정부도 하반기 교역 전망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수출기업들과 간담회에서 "원자재 가격상승, 공급망 불안, 환율 변동 등에 따른 수출기업 애로가 적지 않은 상황"이라며 "최근 수출기업이 직면한 어려움이 대부분 단시일 내 개선이 쉽지 않은 대외요인임을 감안할 때 하반기 수출여건도 녹록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무역금융 확대 ▲물류·공급망 등 현안 대응 금융지원 강화 ▲중소화주 전용 선적공간 확보 등 중소 수출업계 물류 부담 완화 지원 ▲중소기업 전용 공동물류센터 확충 인프라 보강 ▲인력난 완화 위한 근로시간제 개선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추 부총리는 "현재 직면한 어려움을 타개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이 있으나 특히 수출이 매우 중요하다"며 "수출이 활력을 갖고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경제의 어려움을 타개하는 데 선봉에 설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함께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