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해마다 증가하는 보이스피싱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보이스피싱 통합 신고·대응센터와 정부 기관들로 구성된 합동수사단을 설치한다.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AD
|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금액은 증가세다. 이날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피해금액은 지난 2019년엔 6398억원, 지난 2020년엔 7000억원이 집계됐다. 지난해 피해금액은 7744억원으로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
![]() 그동안 보이스피싱 범죄는 민원을 제기하려면 소관부처들이 각각 따로 신고창구를 운영하고 있어 관련 소관부처를 찾아 직접 신고해야 했다. 사진은 현행 부처별 신고창구 대응 현황. /사진=국무조정실 제공
AD
|
정부는 부처별 신고 접수 전화번호를 112로 일괄 통합하고 현재 부처별로 운영 중인 인터넷 사이트도 1개 사이트로 통합해 신고접수·처리절차를 완전히 일원화한다.
이와 함께 ▲범죄 피해금 환급 ▲범죄이용 전화번호 이용중지 ▲계좌 지급정지 ▲피해자 명의도용 구제 등 신고접수에 수반되는 절차는 동시에 처리하고 신고데이터는 수사·행정처분 자료로도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 분석·대응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보이스피싱 정부 합동수사단도 설치·운영해 범죄조직에 대한 수사를 전개한다. 대검찰청·경찰청·관세청·국세청·금융감독원·방송통신위원회 등 정부기관들로 구성된 합동수사단은 수사 대상을 범죄단체 조직·가입, 피해금 해외반출, 대포통장·대포폰 유통, 조세포탈 범행 등으로도 넓힌다.
범죄수익 환수, 피해자 구제, 위법 통신업체에 대한 행정처분 등도 한번에 처리하고 중국, 필리핀 등 보이스피싱 거점 국가 수사 당국과 긴밀한 국제공조를 바탕으로 해외 조직에 대한 현지 수사, 수배자 검거·강제송환을 적극 추진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