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근로자 절반 이상은 주 4일 근무제보다 유연 근무제가 직장 근속연수를 높이는데 더 도움이 된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뉴스1
AD
|
퀄트릭스 조사결과, 주 4일 근무제와 유연 근무제에 대한 선호는 50%로 동등했다. 직원의 근속요인으로 유연 근무제(58%)를 꼽은 답변이 주 4일 근무제(48%)보다 높았다.
응답자들은 유연 근무제의 개념으로 ▲원하는 시간을 선택해 근무하는 것(48%) ▲원하는 요일을 선택해 근무하는 것(13%) ▲장소 상관없이 근무하는 것(11%) ▲근무 대신 성과로 평가하는 것(7%) 등을 꼽았다.
많은 직장인들은 새 근무 시스템 도입 부작용도 우려했다. 주 4일 근무제 시행시 예상되는 부정적 변화(복수응답)로 응답자들은 ▲근무시간 연장(68%) ▲회사실적 저하(54%) ▲고객 불만(52%) 등을 선택했다.
유연 근무제의 가장 큰 단점으로는 '커리어 발전에 도움이 안된다(65%)'라는 답변이 우세했다. 새 근무 체제 도입에 앞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성과중심 인사평가 시스템을 마련하는 게 급선무(65%)란 의견도 많았다.
응답자 43%는 "성과중심 평가모델을 도입하면 근무시간이 줄어들 것"이라고 답했다. 다른 설문 문항에서 응답자 83%는 "새 근무 체제 확대에 앞서 직원 정신건강을 위해 유급 휴가도 늘려야 한다"고 응답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