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의 대외 정책이 여러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윤 대통령이 지난 10일 제20대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모습. /사진=장동규 기자
AD
|
더 디플로맷은 "과거 한국의 정치인들은 베이징 자극을 최대한 지양했다면 윤 대통령은 강경 대중 노선을 택했다"며 "하지만 중국은 여전히 한국 수출품의 25%가 향하는 최종 목적지"라고 전했다.
![]() 미 매체 더 디플로맷은 지난 25일(현지시각) "몇몇 분석가들은 한국과 미국의 관계도 완벽한 조화를 이루지 못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고 전했다. /사진=미 매체 더 디폴로맷 공식 홈페이지 캡처
AD
|
이어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의 말을 인용해 "윤 대통령은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북한과의 갈등, 바이든 행정부를 설득해 미국의 대북정책을 (미국의)우선순위에 올려놓는 일, 미국과 중국 사이 갈등에서의 포지셔닝"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