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일부 지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보다 오미크론 변이에서 인명피해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관련 없음./사진=뉴스1(로이터)
AD
|
미국 NBC 방송은 22일(현지시각) 매사추세츠주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브리검여성병원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오미크론 변이가 델타 변이에 비해 훨씬 짧은 기간동안 더 많은 인명피해를 입혔다고 보도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지난 20일 '미국 의학협회지(JAMA)'에 게재됐다.
앞서 지난 1월 공개된 연구 결과를 보면 오미크론은 델타에 비해 중증화율은 약 74%, 사망 가능성은 약 10분의 1 수준이었다. 오미크론은 델타에 비해 전염성이 더 높지만 감염 시 경증에 그치는 사례가 많아 중증이나 사망 피해가 적을 것으로 많은 전문가들이 기대했다.
하지만 높은 전파력으로 확진자 수가 이전에 비해 크게 늘면서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초과사망도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과사망은 한 해 사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값인 '기대사망'을 초과한 사망을 뜻한다.
연구팀은 ▲델타 변이가 우세했던 2021년 6월28일부터12월5일 ▲델타 변이에서 오미크론으로 우세종이 전환되던 2021년 12월6~26일 ▲오미크론이 우세종으로 등극한 2021년12월27일부터 2022년2월20일까지 발생한 초과사망을 분석했다.
오미크론이 우세종이었던 기간에 발생한 초과사망이 델타 변이가 유행했던 23주 기간보다 더 많았다. 8주동안 오미크론 변이로 발생한 초과사망 사례는 2294명으로 나타났다. 반면 델타 변이 유행 중 코로나19로 초과사망한 사람은 1975명으로 집계됐다.
오미크론 또한 델타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위험군인 65세 이상 고령자 연령대에서 초과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연구팀이 이 같은 결과를 오미크론의 강한 전파력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연구의 주 저자인 제레미 파우스트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과 강사는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가 가벼운 질병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해도 여전히 상당한 양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증상이 가벼운 오미크론 하위 변이라 해도 앞으로 계속 유행 시 여전히 위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증상이 경미하지만 전염성이 매우 높은 코로나19 변이체가 유행하면 백신 접종을 받고 면역을 갖춘 인구에서도 빠른 속도로 초과사망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연구팀은 "해당 연구가 미국 전체가 아닌 특정 지역으로 한정됐고 백신 접종률이 초과사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로버트 앤더슨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산하 국립보건통계센터 사망통계분과장은 "전국적으로는 델타 변이로 인한 초과사망이 약 26만6000명으로 오미크론의 14만3000명에 비해 많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