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신한·NH농협은행에 이어 KB국민은행도 주택담보대출 최장 만기를 40년으로 확대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명동 하나은행 영업부를 찾은 고객들이 상담을 받는 모습./사진=뉴스1
AD
|
시중은행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만기를 40년까지 확대한 곳은 하나·신한·NH농협에 이어 KB국민은행이 네번째다. 이에 5대 은행 가운데 우리은행만 주담대 최장 만기가 35년으로 가장 짧아지게 됐다.
앞서 하나은행은 시중은행 중 처음으로 지난달 21일부터 주택담보대출 최장 만기를 35년에서 40년으로 연장한바 있다.
이어 신한은행이 지난 6일부터 NH농협은행이 지난 9일부터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최장 만기를 40년까지 늘렸다.
대출자 입장에선 대출 만기가 늘어날수록 연 원리금 상환 부담이 줄어드는 만큼 개인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도 하락해 총 대출한도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연봉이 4000만원인 직장인 A씨가 서울에서 8억원의 집을 산다고 가정했을 때 금리 4.5%에 35년만기 원리금균등상환방식으로 빌린다고 가정하면 DSR 40% 규제로 인해 주담대 최대 한도는 약 2억8000만원이다. LTV(주택담보대출비율) 40%(3억2000만원) 한도까지 은행에서 돈을 빌릴 수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주담대 만기가 40년으로 늘면 현재 LTV 40% 적용시 차주는 약 3억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 한도가 2000만원 가까이 늘어나는 셈이다.
DSR은 대출자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의 일정 비율 이내로 제한하는 제도다. 개인별 DSR 규제는 은행권에선 40%, 비은행권에선 50%가 적용되고 있다. 올 1월부터 총 대출액이 2억원을 넘는 대출자부터 DSR규제가 적용된 가운데 올 7월부터는 총 대출액 1억원 초과 대출자로 대상이 확대된다.
윤석열 정부가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를 대상으로 LTV을 최대 80%까지 완화하기로 해 주담대 한도는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다만 대출 기간이 늘어날수록 금융 소비자가 부담하는 총 대출이자가 증가한다. A씨의 경우 2억8000만원의 주담대 만기를 35년에서 40년으로 늘리면 총 대출이자는 2억7655만원에서 3억2421만원으로 이자만 4766만원이 늘어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만기가 길수록 DSR이 낮아져 대출을 더 받을 수 있지만 총 대출이자는 증가한다"며 "차주의 상환여력을 감안해 만기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